길을 가다가 우연히 한 노인(언뜻 스쳐 지나갔지만, 노인이라고 칭하기에는 다소 젊어 보이고, 중년이나 初老로 보기에는 다소 늙어 보이는)이 손자로 여겨지는 남자 아이의 손을 붙들고 걸어가는 모습을 보았다.


 

 

할아버지(노인인지, 중년인지, 초로인지 구별함을 떠나서, 적어도 아이는 그를 아빠가 아닌 할아버지로 불렀을 것임이 거의 분명하다)의 손에 매달린 그 아이의 손에서 숨이 막힐 정도의 무게감을 느꼈다.


 

 

자기의 할아버지를 향한 依存性(처음에 나는 이것을 두고 信賴라는 개념을 상정하였으나 의존성이라는 표현이 내가 느낀 감정을 指示하기에 보다 적절한 것 같다)의 무게감이 그것이다. 아이에게 내민 손이 할아버지의 것이 아니라 그리 늙지 않은 자기 아빠의 것이었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그 느낌은 전혀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아이의 할아버지에 대한 의존성의 무게감은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거기에 노년의 왜소한 한 인간이 표상하는 무력함의 무게까지 얹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의존하는 대상이 너무 초라하고 허약하여 실은 전혀 의존할 만하지 못하다는 것을 느끼면 느낄수록, 그리고 의존하는 주체가 너무나도 순진무구하기에 그러한 사실을 알지 못하면 못할수록 그 의존의 무게는 더욱 절박하고, 더욱 애달프게 다가오는 것이다.


 

 

나는 거기서 나의 아버지와 나의 아들의 손을 잡은 모습을 보았음이 틀림없다. 그리고 또한 그것은 나와 내 아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5살도 채 되지 않은 나의 아이는 너무도 부서지기 쉬운 자기 아비를, 그리고 그와 같은 자기의 할아비를 알지 못한 채 웃음어린 얼굴로 그 손을 잡아 당겨 끌 뿐이다.


 

 

할아버지와 아이의 손잡은 모습에서 따온 하나의 삽화. 그 삽화에서 나는 弱子와 그보다 더한 幼弱者 간의 유대를 찾아낸다. 나는 여기에 어떠한 난폭하고 잔인한 현실이 개입하지 않기를, 그리고 非現實的이지만 여기에 어떠한 선한 의지와 힘이 개입하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깨어지기 쉽지만, 아름답고 애달픈 그 세계가 보존되고, 더 나아가 다른 세계와 화해를 이룰 수 있기를.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나 자신을 위하여 이를 소망하는 것이다.